편익극대화
-
[심화] 조세에 의한 공공재 공급[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2. 24. 07:02
조세에 의한 공공재 공급의 비효율성을 따져보기 위해 다음의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사용재X, 공공재G가 있고 1인당 노동L이 공급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 경제의 구성원 수는 H입니다.편의상 노동의 가격(PL)은 1이라고 하겠습니다.이 경제에서 생산가능곡선은 다음과 같습니다.PX∑Xh + PGG = ∑Lh이때 각 개인의 선호가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1인당 노동공급량이나 개개인이 택하는 X, G 조합이 모두 동일할 것이므로 위 식은 다음과 같이 바꿔쓸 수 있습니다.PXHX+PGG = HL이제 각 개인에게 T의 정액세와 tx만큼의 물품세가 부과된다고 해보겠습니다. 이 경우 각 개인의 효용 극대화 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가능합니다.위와 같은 효용극대화 식을 토대로 라그랑지 식..
-
[공공재] 09. 혼잡공공재[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2. 22. 06:43
이번 시간에는 혼잡공공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혼잡공공재(congestible public goods)는 공동소비가 가능하나 이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체를 초래하는 재화를 말합니다. 그래서 혼잡공공재는 불완전한 비경합성을 가진 재화입니다.혼잡공공재를 평가하기 위한 혼잡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q : 1인당 소비량, N : 이용자수, Q : 전체 공공재 공급량)α=0이라면 q=Q, 즉 1인이 소비할 수 있는 공공재의 크기가 전체 공공재의 크기와 같으므로 경합성이 없는 순수공공재에 해당합니다.α=1이라면, q=Q/N, 즉 1인이 소비할 수 있는 재화의 크기는 정확히 전체 재화의 1/N이므로 이는 사용재와 동일하게 취급됩니다.하지만, 0혼잡공공재에 대해서 최적 규모를 도출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