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
[심화] 요소수요곡선에 대한 수학적 도출[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9. 25. 23:25
이번 글에서는 요소수요곡선에 대한 두 가지 성질 1. 생산요소의 수요곡선은 반드시 우하향한다. 2. 장기노동수요곡선의 기울기는 더 완만하다. 에 대해서 수리적으로 어떻게 도출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전체적인 내용은 다음 글을 참고해주세요. [요소시장이론] 요소수요함수 분석 : https://fromonetoten.tistory.com/78 생산물시장 공급자가 독점인 경우에는 요소수요곡선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생산물시장 공급자가 경쟁적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때 기업의 이윤과 이윤극대화 1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계도함수 2계조건은 극댓점이 존재해야한다는 것인데, 이를 다변수함수에서는 헤세행렬(Hessian matrix)을 통해서 판단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제..
-
[시장조직이론] 반복게임에서 카르텔의 안정성[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9. 12. 21:35
여기서는 반복게임에서 카르텔의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는 할인율을 구해보겠습니다. 게임의 보수는 다음과 같다고 하겠습니다. 카르텔을 형성하면 기업은 생산량을 낮추므로 낮은 생산량일 때 협조적 전략(카르텔 준수), 높은 생산량일 때 비협조적 전략(카르텔 위반)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1. 방아쇠 전략(트리거 전략; trigger strategy) 방아쇠 전략이란 협조적 전략을 택하지만, 상대방이 1회라도 비협조적 전략을 택할 경우 이후에는 계속해서 비협조적 전략을 택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할인인자(할인율의 역수)의 크기를 δ라고 할 때, 협조시와 경쟁 시 기업 A의 다기간 이윤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 A가 계속해서 협조를 하려면 π1이 π2보다 커야합니다. 따라서 할인인자는 적어도 14/..
-
[보충] 등이윤곡선의 성질[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9. 6. 20:19
이번 포스트에서는 과점시장 분석에서 사용하는 등이윤곡선(iso-profit curv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등이윤곡선이란 기업에게 동일한 이윤수준을 제공해주는 산출물의 조합을 가리킵니다. 등이윤곡선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X축에 대해서 오목하다. 위에서 빨간선은 기업1의 반응곡선입니다. 반응곡선은 등이윤곡선의 극댓값을 이은 점이므로 점E를 지나게 됩니다. 등이윤곡선은 기업2의 생산량이 qe로 일정한 상황에서 기업1의 최적생산 qE보다 더 늘리거나(qH), 혹은 더 줄이면(qL) 기업1의 이윤은 qe보다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또한, 기업2의 생산량이 qh로 늘어나게 되면 시장의 공급량이 늘어 가격이 떨어질 것이므로 이윤이 더 떨어질 것입니다. 그래서 등이윤곡선은..
-
[심화] 한계비용가격설정과 평균비용가격설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7. 28. 20:45
우리는 이제까지 독점기업의 의사결정 방식부터 정당성, 그리고 독점력을 기업이 누리는 방법과 이를 규제하는 정부의 방식까지 살펴봤습니다. 그런데 독점기업에 대한 정부의 타겟목표가격은 한계비용과 평균비용 중 어디에 해당할까요? 이는 특히 전력, 수도, 철도 등 정부공기업의 경우에는 정부가 가격설정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독점기업에 대해서 어떤 가격을 목표로 할 것인지가 중요한 문제가 됩니다. 1. 한계비용 가격설정(MC pricing) 한계비용 가격설정은 P=MC일 때 사회의 후생이 최대가 된다는 점에 착안했습니다. 그래서 독점시장의 가격을 기업의 한계비용 수준까지 끌어내려 완전경쟁시장에서 나타나는 자원배분을 독점시장에서도 구현하기 위한 가격설정 방식입니다. 그런데 한..
-
[심화] 해외 개방 하 국내 독점 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7. 11. 22:22
기본적인 독점기업의 의사결정은 다음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장조직이론] 독점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 : https://fromonetoten.tistory.com/50 여기서는 좀 더 현실적인 접근으로 해외에 개방된 시장을 둔 독점기업을 가정하고 여러 가지 조건에서 의사결정을 분석해보겠습니다. 이 분석이 좀 더 현실적인 이유는 대부분의 개발도상국 또는 과거 한국경제에서는 자국 산업 발전을 위해서 자국 기업에 독점적 지위를 부여하고 해외 시장에 진출시켜 국내 기업을 양성하는 정책을 자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산업조직론에서 좀 더 다양한 사례를 다루겠으나 여기서는 몇 가지 주요 상황을 상정해보겠습니다. 1. 해외 개방 - 국내 폐쇄 독점 수출기업의 의사결정 국내시장에서는 독점..
-
[심화] 내구재 독점 기업의 의사결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7. 9. 19:38
이번 시간에는 좀 더 특수한 독점기업 중 내구재 독점 기업의 의사결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독점기업의 의사결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장조직이론] 독점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 : https://fromonetoten.tistory.com/50 내구재(durable goods)란 단순 소비재가 아닌 장기간 사용가능한 재화를 뜻합니다. 내구재는 소비재와 달리 한 번 구매하면 장기간 사용가능하므로 기간별로 따졌을 때 수요의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즉 내구재 수요는 이전 시기에 구매했던 구매자들을 제외한 잔여수요(Residual Demand)를 수요곡선으로 하기 때문에 가격이 지속해서 하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소비자 또한 시장에서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독점생산자라고 할지라도 ..
-
[심화] 다공장 독점 하 의사결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7. 8. 19:49
이전에 우리는 독점 기업의 의사결정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었습니다. [시장조직이론] 독점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 : https://fromonetoten.tistory.com/50 이번 글에서는 다공장독점 기업의 의사결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다공장독점이란 다수의 생산 공장에서 하나의 시장에 공급할 재화를 생산해내는 독점기업 체제를 말합니다. 다공장독점에서는 공장이 여러 개이므로 공장마다 생산비용이 제각각 다르다면 이윤극대화 식이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어려워보일 수 있지만 결국 MR=MC가 모든 공장에 대해서 성립해야 하므로 각 공장의 한계비용이 한계수입과 전부 동일한 수준에서 최적 수준이 결정된다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이제 이 내용을 그래프로 그려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
[증명] 탄력성과 귀착의 관계[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6. 12. 22:59
이전 글에서 조세의 귀착과 탄력성의 관계를 대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시장균형이론] 조세 귀착이론 기초 : https://fromonetoten.tistory.com/39 이 글에서는 보다 일반적인 경우에도 귀착의 크기와 탄력성의 크기가 반비례하는지를 보이겠습니다. 조세는 중립성이 성립하므로 생산자에게 과세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P : 지불가격, r : 수취가격, T : 조세, XD : 수요량, XS : 공급량이라고 할 때, 조세는 수취가격과 지불가격의 차이와 같으며, 균형에서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으므로 다음이 성립합니다. (보충하자면, 균형상태에서 조세의 귀착분을 따지는 것이므로 균형 상태를 가정하고 탄력성을 구하는 것입니다.) 균형식의 양변을 전미분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