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대
-
[정보경제학] 주인대리인 이론과 유인설계[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12. 12. 21:11
이번 시간에는 도덕적 해이 문제가 발생하는 주인과 대리인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주인대리인 이론과 주인-대리인 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인설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인대리인문제(Principal Agent problem)란 대리인의 감추어진 행동으로 인해 주인이 대리인의 노력이나 행동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말합니다. 주인이 대리인의 노력이나 행동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면, 대리인은 주인이 아닌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행동합니다. 주인-대리인 이론이 잘 적용되는 경우 중 하나가 주식시장입니다. 주주(주인)는 자신이 소유한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유인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야 회사의 가치가 오르고, 배당이 높아져 주주의 이익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업을..
-
[시장균형이론] 지대와 지대추구행위[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5. 31. 22:34
이번 글에서는 지대와 지대추구행위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생산자잉여 및 이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지대에 대해 논하기에 앞서 먼저 관련 용어들을 정리하고 가겠습니다. 즉 경제적 지대란 쉽게 말하면 공급이 제한됨에 따라 공급자가 얻게 되는 초과이윤입니다. 그리고 오늘날에는 토지에 대한 지대가 사실상 고정된 공급요소에 따른 경제적 지대와 동일하므로 두 개념은 동일하게 사용하기도 합니다. 전용수입은 사업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의 비용과 같으므로 영역 C가 전용수입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그 이상의 수입인 B가 경제적 지대입니다. 따라서 지대가 생산자잉여가 됩니다. 개별기업의 비용곡선에서 더 살펴보면 앞선 논의를 참고할 때 영역 ADFC가 생산자잉여이고 이 크기가 이윤과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