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량세
-
[시장조직이론] 독점 규제 방안 - 조세 부과[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7. 23. 20:55
이번 포스트부터는 독점력을 행사하는 독점 기업에 대해 정부의 규제 방안에 대해서 차례로 살펴보겠습니다. 독점 규제를 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사회후생의 손실을 막기 위함인데 이를 위해 정부는 정책적으로 한계비용 또는 평균비용에 맞추어 독점시장의 가격을 조정하고자 하는 유인이 있습니다. 각자 타게팅하는 목표에 대한 장단점은 나중에 논의해보기로 하고, 일단 한계비용 설정으로 생각하고 각각의 규제방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조세 부과를 통한 독점 규제 방식은 조세를 통해 독점기업의 이윤 감소 혹은 생산 증대 등 시장 질서를 바로잡기 위한 행위입니다. 종량세, 종가세, 정액세 등에 따라 그 효과를 살펴보겠습니다. 1. 종량세 단위수량당 조세 t를 부과한다고 할 경우 이..
-
[시장조직이론] 완전경쟁시장에서 조세와 보조금의 귀착[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7. 3. 19:06
이번 포스트는 완전경쟁시장에 대한 두 번째 글로 세금 및 보조금이 부과되었을 때 시장효과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시장조직이론]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 : https://fromonetoten.tistory.com/48 전편에서 완전경쟁시장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봤는데 여기서는 균형조건만 다시 한 번 상기하면 단기 : P=AR=MR=SMC 장기 : P=AR=MR=SAC=LAC=SMC=LMC 균형조건을 생각하면, 단기공급곡선은 우상향하고, 장기공급곡선은 수평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조세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시장균형이론] 조세 귀착이론 기초 : https://fromonetoten.tistory.com/39 1. 정액세(Lump-s..
-
[시장균형이론] 최적조세율의 결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6. 14. 22:13
이번 시간에는 지난 글에 이어 조세론 기초로서 최적조세에 대한 논의를 해보겠습니다. 최적조세율은 정의하기에 따라 다르지만 여기서는 조세수입을 극대화하는 세율이라고 정의하고 논의해보겠습니다. 1. 최적종량세 조세가 없을 때 공급곡선을 수평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러면 세금T에 대해서 dT=dP가 성립합니다. 조세수입 R=TQ에서 dR/dT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 수식에 따라 세입극대화를 위한 최적 세율 조건은 εP=P/T이며 그보다 탄력성이 높아지면 물품세 인상 시 조세수입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습니다. 거시경제학에서 공급주의경제학을 논할 때 나오는 래퍼커브(Laffer Curve)도 여기에서 유도할 수 있습니다. 거시경제학에서 보다 자세히 다루겠지만, 래퍼커브의 존재는 세..
-
[시장균형이론] 조세 귀착이론 기초[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6. 10. 23:19
이번 시간에는 조세귀착에 대해 기본적인 내용과 유도를 알아보겠습니다. 1. 조세의 의미, 종류 세금에 대해서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지만 그 중 하나를 꼽자면 세금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정부 또는 지방 정부를 운영하기 위해 국민으로부터 법에 따라 걷는 돈"(국세청, 2021)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사회활동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광범위해지면서 세금의 종류와 유형도 아주 다양해졌고, 구별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세금을 징수하는 주체에 따라서 국세와 지방세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국세는 징수주체가 국가이며, 지방세는 징수주체가 지방자치단체가 됩니다. 또한 징수 목적에 따라 보통세와 목적세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보통세는 특별한 사용 용도를 지정하지 않고 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