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충] 상대소득가설[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3. 2. 10. 00:20
이번 시간에는 미시적 기초에 기반한 소비 이론 중 마지막인 상대소득가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대소득가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쿠즈네츠의 소비의 수수께끼(consumption puzzle)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쿠즈네츠(S. Kuznets)는 횡단면 및 단기시계열 자료에서 평균소비성향은 체감하지만 장기시계열 자료에서 평균소비성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발견합니다.
그런데 케인즈의 가처분소득에 기초한 소비함수로는 단기시계열에 대해서는 평균소비성향 체감을 설명할 수 있었지만, 장기시계열의 평균소비성향 불변은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소비이론이 등장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상대소득가설입니다.
듀젠베리(J. S. Duesenberry)에 의해 제창된 상대소득가설의 핵심은 '상대성'입니다. 기존의 케인즈 등의 모형에서는 개인의 소비수준에 타인의 소비수준은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듀젠베리는 소비행위에는 외부성(externalities)이 존재하며 그 외부성은 사회적 상대성과 역사적 상대성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자신의 눈에 보이는 다른 사람들의 소비수준에 영향을 받는다는 전시효과(demonstration effect)를 제시합니다.
상대소득가설을 설명하기 위해 단기간의 소비함수를 다음과 같이 설정해보겠습니다.
이때 ci와 yi는 i번째 소비자의 소비와 소득 수준을 가리키며 c0는 1인당 평균소비수준을 말합니다. 이와 같은 소비함수에서 한계소비성향과 평균소비성향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소비함수에 따르면 한계소비성향은 일정하고, 평균소비성향은 체감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듀젠베리는 장기가 되면 소비행위의 비가역성(irreversiblity)이 발생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소비의 비가역성에 따르면 사람들의 소비는 자신의 최고소득에 영향을 받으며 그때의 소비수준을 유지하려는 관성이 있기 때문에 소득이 감소해도 이에 비례해서 소비를 줄이지는 못한다고 가정합니다. 이에 따를 때 소비함수는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g(·)는 감소함수이며, Yi는 i번째 소비자의 최고소득을 말합니다. 이와 같은 소비함수에서는 평균소비성향이 g(·)로 일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한계소비성향도 g(·)로 같기 때문에 원점에서 출발하는 소비함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상대소득가설을 좀 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그래프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상대소득가설에서는 단기의 경우 위쪽 그래프와 같이 케인즈의 소비함수와 유사한 형태가 나타납니다.
그러나 장기가 되면 개인의 소비함수는 원점에서 출발하는 소비함수이되, 경기가 후퇴하더라도 개인의 최고소득을 기준으로 감소폭이 작아지는 형태로 이동하게 됩니다. 즉 점A에서 일시적인 경기후퇴로 소비 축소가 일어날 경우 B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C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처럼 경기가 불황에 빠질 경우 최고소득수준은 소비의 감소를 억제하는 톱니(ratchet)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를 가리켜 톱니효과(ratchet effect)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상대성이 실증적으로 나타날까?에 대해서 의문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외로 이를 지지하는 연구들이 있는데 예컨대 넉시(R. Nurkse)는 선진국일수록 저축률이 높고, 후진국일수록 저축률이 낮은 경향이 있음을 보였습니다. 이는 전시효과가 국제적으로 확장된 예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선진국은 자신보다 후진국이 많기 때문에 소득에 비해 낮은 비율로 소비하게 되고, 후진국은 선진국을 많이 보게 되므로 자신의 소득수준에 비해 높은 비율로 소비하게 됩니다. 그래서 후진국들이 저축이 부족한 현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할 수 있으며 이를 국제적 전시효과(international demonstration effect)라고 부릅니다.
다음 시간부터는 투자이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궁금하거나 지적할 사항은 댓글로 달아주세요
'[알아가자]경제학 > [알아가자]거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적기초-투자] 55. 신고전파 투자이론 (0) 2023.02.19 [미시적기초-투자] 54. 투자함수 개괄 (0) 2023.02.13 [미시적기초-소비] 53. 충동적 소비이론 (0) 2023.01.27 [미시적기초-소비] 52. 유동성 제약이론 (0) 2023.01.23 [미시적기초-소비] 51. 예비적 저축 가설 (0) 2023.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