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외부성] (보충) 외부성 관련 소주제
    [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6. 1. 17:59

    이번 시간에는 외부성과 관련한 소소한 내용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규제로 인한 비용부담의 문제

    다수의 오염 유발 기업들이 정부의 정책에 따라 산출량을 줄이게 되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기업들은 산출량 감소에 따라 노동과 자본 투입을 줄이게 되므로 해당 자본을 소유하는 소유자들의 후생이 감소합니다. 아울러 근로자들이 단기적으로는 실업, 장기적으로는 임금 하락을 겪게 됩니다. 만약 이 근로자들의 임금 수준이 낮았다면 노동시장에서의 소득불평등이 증가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산출량 감소로 최종 제품의 가격이 상승합니다. 물론 이는 사회적 후생을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어쨌든 이 재화를 구매하는 구매자의 효용은 감소합니다. 이 재화가 고소득층이 일반적으로 구매하는 재화라면 부의 불평등 개선에 기여하겠지만, 반대라면 오히려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실증연구 측면에서 Hassett, Mathur and Metcalf(2007) 연구에 따르면 탄소세의 부과가 저소득층 가정에 높은 비율의 부담을 준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하지만 저소득층의 상대적인 부담이 가정의 생애수입에 비하면 크지 않다고 하며, 따라서 이 결과는 부의 불평등 문제에 있어 탄소세가 크게 고려대상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2) 외부성의 상호성(Externalities are reciprocal in nature.)

    공장과 지역주민 사이에서 일반적으로는 공장을 '오염원'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지역주민을 '오염원', 즉 사회적 비용을 늘리는 주체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는 공장이든 지역주민이든 두 경제주체 모두 강을 이용하는 이용자라는 점에서 반드시 공장을 나쁘게만 볼 필요는 없다는 뜻입니다. 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도덕성의 개념과 경제학적인 관점이 다름을 뜻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