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경제학
-
[증명] 한계효용체감과 한계대체율체감의 관계[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3. 31. 21:40
앞서 우리는 한계효용체감법칙과 한계대체율체감법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fromonetoten.tistory.com/4 이 부분을 공부하고 나면 많은 학생들이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해 궁금해하고,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아무 조건이 없는 상태에서는 한계효용체감의 법칙과 한계대체율체감의 법칙 간 관계는 없는데요. 이제 그 이유를 수식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효용함수 U=U(x,y)에서 한계효용이 체감한다는 의미는 효용함수를 두 번 미분했을 때 음수라는 의미입니다. U′′(x)
-
[소비자이론] 한계효용체감과 한계대체율체감법칙[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3. 29. 21:12
이번 글에서는 한계효용체감법칙과 한계대체율체감법칙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설명해보겠습니다. 먼저 한계효용(Marginal Utility;MU)이란 단위재화량의 증가에 따른 효용량의 증가분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재화라면(예컨대 맛있는 음식, 혹은 갖고 싶던 가방 등) 재화를 가진 양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추가적으로 늘어나는 효용의 양은 줄어들 것입니다. 그래서 단위재화량이 늘어남에 따라 늘어나는 효용의 양이 줄어드는 법칙을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가로축을 재화의 양으로 하고, 세로축을 효용으로 하게 될 경우, 한계효용체감법칙이 적용된다면 이렇게 위로 볼록한 형태의 효용곡선을 갖게 됩니다. 한계효용이 위 그래프의 접선의 기울기인데 체감하므로, 접선의 기울기가 점차 감소해야..
-
[소비자이론] 효용함수와 무차별곡선[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3. 28. 16:03
소비자이론의 시작은 효용의 개념이해입니다 효용(utility)이란 특정한 상품묶음이 소비자에게 주는 만족감의 정도라고 할 수 있는데요, 쉽게말하면 어떤 재화(물건)나 용역(서비스)이 소비자에게 주는 만족감의 크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효용함수(utility function)는 특정한 상품묶음이 소비자에게 주는 만족감의 정도를 하나의 값에 대응시킨 함수를 가리킵니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R은 실수값이라는 의미이고, n은 상품의 수, 그리고 +는 기본적으로 상품의 수가 0이상의 수이기 때문에 양수에서 정의됩니다. 다만 효용의 크기 자체는 양수일수도 있고 음수일 수도 있기 때문에 양의실수 집합에서 실수전체 집합으로 대응됩니다. 효용함수에서 나아간 개념이 효용곡면입니다. 효용곡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