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
-
[시장조직이론] 독점력의 행사방법 - 묶어팔기[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7. 22. 20:18
이번 포스트에서는 묶어팔기의 개념과 종류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번들링, 즉 묶어팔기(bundling)란 여러 개의 상품을 한꺼번에 묶어서 판매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묶어팔기는 묶음상품만 판매하는 순수 묶어팔기(pure bundling)와 개별상품 판매를 병행하는 혼합 묶어팔기(mixed bundling)가 있습니다. 묶어팔기는 일상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예컨대 안경알과 안경테는 서로 다른 별개의 상품이지만, 안경점에서는 안경알과 안경테를 한 번에 같이 맞추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물론 따로 구매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혼합 묶어팔기의 예가 되겠습니다. 또 휴대폰에 설치되어 있는 제조사나 통신사의 앱도 묶어팔기의 대표적 사례입니다. 사실 제조사나 통신사의 원가에는 이런 앱들을..
-
[시장조직이론] 독점력의 행사방법 - 이부가격제[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7. 20. 22:33
이번 글에서는 이어서 독점기업이 독점력을 행사하는 방법 중 하나인 이부가격제를 알아보겠습니다. 이부가격제(two part tariff)란 독점 기업이 가입비(entry fee)와 사용료(usage fee)를 받아 독점 기업의 이윤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말합니다. 가입비는 권리에 대한 금액이고 사용료는 이용에 대한 금액으로 둘을 다르게 받아 소비자의 소비성향에 맞추어 다르게 가격을 수취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이부가격제 하 예산선 및 효용극대화 등에 대해서는 소비자이론에서 다루었었습니다. [소비자이론] 사회복지제도 간 비교(현금보조, 현물보조, 가격보조, 리베이트, 이부가격제) : https://fromonetoten.tistory.com/22 여기서는 생산자 입장에서 독점기업이 이부..
-
[시장조직이론] 독점력의 행사방법 - 가격차별[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7. 17. 19:25
이번 글부터는 독점기업이 자신의 독점력을 시장에서 행사하는 여러 방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그 중에서 이번에는 가격차별에 대해서 다루어보겠습니다. 가격차별(Price discrimination)이란 기업이 생산하는 상품을 소비자의 유형에 맞추어 가격을 차등적으로 설정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소비자의 효용, 가격탄력성, 재판매 가능성 등 다양한 인적, 제도적 특성을 고려해서 기업이 받을 수 있는 최대한으로 받아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격차별이 시장에서 성립하기 위해서는 ① 독점자가 가격설정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② 소비자가 특성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③ 전매(재판매)가 어려워야 하고 ④ 시장을 분리할 때 그 비용보다 이득이 커야 합니다. 이렇게만 보면 이..
-
[심화] 해외 개방 하 국내 독점 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7. 11. 22:22
기본적인 독점기업의 의사결정은 다음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장조직이론] 독점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 : https://fromonetoten.tistory.com/50 여기서는 좀 더 현실적인 접근으로 해외에 개방된 시장을 둔 독점기업을 가정하고 여러 가지 조건에서 의사결정을 분석해보겠습니다. 이 분석이 좀 더 현실적인 이유는 대부분의 개발도상국 또는 과거 한국경제에서는 자국 산업 발전을 위해서 자국 기업에 독점적 지위를 부여하고 해외 시장에 진출시켜 국내 기업을 양성하는 정책을 자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산업조직론에서 좀 더 다양한 사례를 다루겠으나 여기서는 몇 가지 주요 상황을 상정해보겠습니다. 1. 해외 개방 - 국내 폐쇄 독점 수출기업의 의사결정 국내시장에서는 독점..
-
[심화] 내구재 독점 기업의 의사결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7. 9. 19:38
이번 시간에는 좀 더 특수한 독점기업 중 내구재 독점 기업의 의사결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독점기업의 의사결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장조직이론] 독점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 : https://fromonetoten.tistory.com/50 내구재(durable goods)란 단순 소비재가 아닌 장기간 사용가능한 재화를 뜻합니다. 내구재는 소비재와 달리 한 번 구매하면 장기간 사용가능하므로 기간별로 따졌을 때 수요의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즉 내구재 수요는 이전 시기에 구매했던 구매자들을 제외한 잔여수요(Residual Demand)를 수요곡선으로 하기 때문에 가격이 지속해서 하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소비자 또한 시장에서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독점생산자라고 할지라도 ..
-
[시장조직이론] 독점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7. 6. 20:25
이번 글부터는 독점시장(monopoly market)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독점시장도 앞서 본 것처럼 공급독점, 수요독점, 쌍방독점, 독점적 경쟁 등 서로 다른 형태들이 존재하는데, 일반적으로 독점시장이라고 하면 공급독점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논의의 확장을 위해 공급독점을 먼저 다루고, 이후에 차례로 다른 변형된 독점시장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가장 큰 차이는 공급자가 가격 수용자가 아닌 가격 설정자(price setter)의 지위를 갖는다는 것입니다. 독점시장에서 공급자는 1개이므로, 시장의 수요를 고려하여 자신의 생산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시장가격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장의 공급곡선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독점공급자가 자신의 지위를 바탕으로 시장수요 하에서 자신의 ..
-
[시장조직이론]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7. 1. 20:18
이번 글부터는 시장조직이론(산업조직론)을 시작하겠습니다. 미시경제학에서 시장조직이론은 생산자와 소비자의 수에 따라서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번 글부터 시장조직이론에서는 각 시장별로 생산자와 소비자의 의사결정과 유형별 특징, 사회적 잉여의 배분 및 시장충격 시 후생 변화 등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완전경쟁시장(perfect competition)은 ① 수많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존재하고, ② 동질적 상품에 대해서 거래하는데, ③ 기업의 진입과 이탈이 자유로워 자원의 이동이 자유롭고, ④ 정보비대칭(information assymmetry)이 없는 완전정보 상황인 시장을 말합니다. 이 경우 완전경쟁시장의 어떤 참여자도 수많은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