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학
-
[외부성] 19. 배출부과금제와 배출권 거래제 비교[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5. 12. 11:51
이번 시간과 다음 시간에는 외부성을 해소하기 위한 여러 제도들을 비교해보겠습니다.먼저 배출부과금 제도, 배출권 거래제를 서로 비교해 보겠습니다.여기서 살펴봤던 내용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은 이전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fromonetoten.tistory.com/243 [외부성] 16. 배출부과금 제도이번 시간에는 외부성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인 배출부과금 제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배출 부과금(emission tax)이란 정책당국이 오염원으로 하여금 스스로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fromonetoten.tistory.com https://fromonetoten.tistory.com/246 [외부성] 18. 배출권 거래제이번 시간에는 배출권 거래제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외부성] 18. 배출권 거래제[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4. 25. 15:02
이번 시간에는 배출권 거래제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배출권 거래제(marketable emission permit system)란 자신이 소유한 배출권리를 사고파는 제도를 말합니다.배출권 거래제에서 가격이 결정되는 것은 다른 재화들과 마찬가지로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가격이 결정됩니다.이때 배출권 자체는 규제당국에 의해 총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배출권의 공급량은 수직선으로 표시되고, 배출권의 수요는 배출권의 가격에 따라 우하향하는 그래프로 나타납니다.그리고 이때 결정되는 배출권의 가격은 각 기업의 한계정화비용(MAC)과 일치하는 수준이 될 것입니다. 만약 두 기업 A, B간에 배출권을 거래한다고 하면, 두 기업의 한계저감비용이 일치하는 E 수준에서 거래가격이 결정되고, 균형거래량이..
-
[외부성] 17. 배출보조금(감산보조금) 제도[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4. 23. 07:11
배출보조금은 배출부과금과 반대로 오염물질의 저감을 노력한 오염주체에게 보조금을 지급하여 부정적 외부효과가 일어나지 않도록 유도하는 제도를 말합니다.배출보조금을 지급하는 근거는 오염의 공공재적 특성에 기인합니다.오염을 저감하는 시설을 설치할 경우 그 비용은 설치 주체가 온전히 부담하지만, 오염 저감에 따른 편익은 모든 사회구성원이 누리게 됩니다. 이렇게 편익주체와 비용주체가 불일치할 경우, 정부는 비용부담주체에게 보조금을 지급함으로써 외부효과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예컨대 위 그래프에서 사회의 한계편익(MBS)은 기업의 한계편익(MBP)에 비해 높은 경우, 정부는 s*만큼의 보조금을 기업에 지급하여 기업의 한계편익을 높여줄 유인을 갖습니다.하지만, 이렇게 기업이 오염물질 생산의 감산을 하도..
-
[외부성] (보충) 배출부과금제도의 이중배당가설[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4. 20. 13:09
지난 시간에 배출부과금 제도에 대해서 살펴봤었습니다. https://fromonetoten.tistory.com/243 [외부성] 16. 배출부과금 제도이번 시간에는 외부성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인 배출부과금 제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배출 부과금(emission tax)이란 정책당국이 오염원으로 하여금 스스로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fromonetoten.tistory.com 이 중에서 배출부과금 제도의 이중배당가설에 대해서 잠깐 이야기했었는데 이번 글에서는 이 내용을 보다 집중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배출부과금 제도에서 이중배당가설은 환경세를 부과할 경우 환경이 개선되어 후생이 증가하는 것 외의 다른 측면에서도 후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는 가설입니다. 특히 환경세로부터 ..
-
[외부성] 16. 배출부과금 제도[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4. 14. 16:58
이번 시간에는 외부성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인 배출부과금 제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배출 부과금(emission tax)이란 정책당국이 오염원으로 하여금 스스로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도록 하는 경제적 유인의 한 형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오염원 배출에 비용을 부과하는 제도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피구세(Pigou tax)라고도 부르는데, 여기서는 배출부과금으로 통일하겠습니다.우리가 미시경제학에서는 외부효과에 비례하여 조세(tax) 또는 보조금(subsidy)을 책정하여 비효율성을 제거하는 것을 확인했었습니다. 기억이 안난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https://fromonetoten.tistory.com/106 [시장실패이론] 외부효과(외부성) 이번 글에서는 시장실패 ..
-
[외부성] 15. 공유지의 비극과 코즈의 정리[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4. 7. 16:42
이번 시간에는 공유지의 비극에 대해서 알아보고, 공유지의 비극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인 코즈의 정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공유지의 비극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commons)이란 소유권이 명확하게 분배되지 않아 각 개인이 공유지를 아껴 쓸 유인을 갖지 못해 자원이 낭비되는 현상을 말합니다.공유지 혹은 공유자원이 되는 경우는 경합성(참여자가 늘어날수록 참여자 당 사용가능한 자원의 양이 줄어드는 특성)은 있으나 배제성(특정 참여자가 자원을 사용할 수 없게끔 제한할 수 있는 특성)이 없는 경우에 나타납니다.예를 들어, 주민들이 모두가 이용하는 공유 어장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주민들은 이 어장에서 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꾸려나갑니다. 적정수의 물고기만 잡는다면(=포획량이 ..
-
[보충] 외부성의 비효율성 증명[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3. 29. 07:49
이번 시간에는 외부성이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보다 수리적으로 보이겠습니다.1. 소비의 외부성두 소비자 A, B에 대해서 두 상품 X, Y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X재의 소비가 외부성을 지닌다면 각 소비자의 효용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uA(XA, YA, XB), uB(XB, YB, XA)그리고 이 때 생산가능곡선은 Y≤T(X)로 표현하겠습니다.이에 대해서 라그랑지 식은 다음과 같이 세울 수 있습니다.X재와 Y재 편미분 라그랑지식을 각각 연립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습니다.위 식에서 (1)식을 (2)식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습니다. 결과식을 보면 MRSA=MRSB 외에 X재 생산량에 의해 최적 조건이 변경됨을 알 수 있습니다.2. 생산의 외부성이번..
-
[외부성] 14. 외부효과와 비효율성의 크기[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3. 25. 16:05
이번 글부터는 외부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외부성에 대한 개념이나 계산 방식은 미시경제학에서 다룬 바 있는데복습이 필요하거나 다음의 내용이 이해가지 않는다면 미시경제학에서 다루었던 외부성 설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fromonetoten.tistory.com/106 [시장실패이론] 외부효과(외부성) 이번 글에서는 시장실패 사유 중 하나인 외부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부성(externality)이란 어떤 행위가 비용지불이나 대가수취없이 제3자에게 의도하지 않은 혜택이나 손해를 가fromonetoten.tistory.com 외부성 또는 외부효과(externalities)란 어떤 행위가 제3자에게 의도하지 않은 혜택이나 손해를 일으킴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