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화] 다공장 독점 하 의사결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7. 8. 19:49
이전에 우리는 독점 기업의 의사결정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었습니다.
[시장조직이론] 독점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 : https://fromonetoten.tistory.com/50
이번 글에서는 다공장독점 기업의 의사결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다공장독점이란 다수의 생산 공장에서 하나의 시장에 공급할 재화를 생산해내는 독점기업 체제를 말합니다.
다공장독점에서는 공장이 여러 개이므로 공장마다 생산비용이 제각각 다르다면 이윤극대화 식이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어려워보일 수 있지만 결국 MR=MC가 모든 공장에 대해서 성립해야 하므로 각 공장의 한계비용이 한계수입과 전부 동일한 수준에서 최적 수준이 결정된다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이제 이 내용을 그래프로 그려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 그래프에서 총 한계비용(MCT)은 각 개별 기업의 한계비용의 수평합입니다.
그리고 위 그래프 하나에 그려져 있는 내용을 각 개별기업과 시장을 분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오게 됩니다.
또는 기업의 한계비용 P축 절편이 다른 경우에는 수평합의 원리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오기도 합니다.
다공장독점에서 각종 외부충격은 이 그래프 3개를 기본틀로 해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1공장의 노동자 임금상승이 있을 경우, 한계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그 결과 산업의 전체 한계비용이 상승하여 총생산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두 공장의 한계비용이 한계수입과 일치하는 수준에서 최적생산이 정해지므로 2공장의 생산량은 늘어나고, 1공장의 생산량은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여기까지 다공장 독점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다른 응용된 형태의 독점 기업에 대해서는 포스트의 다른 글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나 지적사항은 댓글로 알려주세요
'[알아가자]경제학 > [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화] 해외 개방 하 국내 독점 시장에서 기업의 의사결정 (0) 2021.07.11 [심화] 내구재 독점 기업의 의사결정 (0) 2021.07.09 [증명] 탄력성과 귀착의 관계 (0) 2021.06.12 [심화] 위험기피도 (0) 2021.05.11 [증명] 슬러츠키 방정식의 유도 (0) 2021.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