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
[거시경제기초]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기본 입장[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1. 23. 20:25
거시경제학에서는 사회를 보는 관점에 따라 경제현상을 분석하는 틀이 다르고, 그 분석틀이 다르기 때문에 경제 문제의 원인과 처방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우리는 앞으로 거시경제학에서 여러 가지 분석틀을 배우고 그 분석틀을 바탕으로 경제현상을 분석, 예상하게 될 것입니다. 그에 앞서 이번 글에서는 오늘날의 거시경제학의 첫 단추를 열었던 두 가지 학파의 입장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1. 고전학파(Classic school) 아담 스미스 등 20세기 이전의 경제학자들의 입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모든 경제주체(기업과 가계)는 합리적이며, 이윤/효용 극대화를 목표로 경제활동을 영위합니다. 2) 모든 시장은 완전경쟁적이어서 경제주체들은 자유로운 시장 하에서 매매를 결정..
-
[거시경제기초] 국민경제순환과 경제지표변동[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1. 19. 22:36
이번 시간에는 국민경제 순환모형을 살펴보고, 국민경제를 살펴보는 수치인 경제지표의 종류와 특성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민경제순환모형은 국가 내의 경제주체와 시장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보여주는 모형입니다. 모형은 중점이 무엇이냐에 따라 여러 가지로 표현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가계, 기업, 정부의 3주체와 생산물, 생산요소, 금융 시장의 3시장이 존재하는 모형을 고려해 보겠습니다. 먼저 가계와 기업은 시장을 통해서 상호 간에 거래를 수행합니다. 이때 가계는 생산물의 소비자이자 생산요소의 공급자이며, 기업은 생산요소의 소비자이자 생산물의 공급자입니다. 그리고 정부는 시장밖에서 정책적으로 경제주체로부터 조세를 수취하고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한편 금융시장에서는 각 경제주체들에게 자금을..
-
[거시경제기초] 국민경제지표 GDP와 GNI[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1. 16. 19:35
이번 글부터는 거시경제학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에서는 각 개별경제주체의 의사결정과 행동을 살펴보았다면,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에서는 각 개별경제주체의 의사결정과 행동이 모여 사회차원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사회의 경제변동을 알아볼 수 있는 가장 직관적인 자료가 바로 경제지표입니다. 각종 경제지표는 우리나라 경제활동의 여러 단면들을 수치로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분석에도 용이하고 앞으로의 경제 추세를 예측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그 중에서 우리가 가장 잘 아는 경제지표가 바로 국내총생산(GDP;Gross Domestic Product)입니다. GDP란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① 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