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
[환율결정이론] 오버슈팅이론[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3. 30. 00:47
지난 시간까지 환율결정이론들을 차례로 살펴봤습니다. [환율결정이론] 구매력 평가설과 이자율 평가설 :: 하나부터열까지 지식창고 (tistory.com) [환율결정이론] 구매력 평가설과 이자율 평가설 이번 시간에는 외환시장의 참가자 개인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환율결정모형인 구매력 평가설과 이자율 평가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환시장에 대한 접근 방식이 재화/서비스 시 fromonetoten.tistory.com [환율결정이론] 가격신축모형, 먼델-플레밍이론 등 :: 하나부터열까지 지식창고 (tistory.com) [환율결정이론] 가격신축모형, 먼델-플레밍이론 등 지난 시간에는 미시적 환율결정모형인 구매력평가설과 이자율평가설을 살펴보았습니다. [환율결정이론] 구매력 평가설과 이자율 평가설 :..
-
[환율결정이론] 가격신축모형, 먼델-플레밍이론 등[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3. 23. 23:02
지난 시간에는 미시적 환율결정모형인 구매력평가설과 이자율평가설을 살펴보았습니다. [환율결정이론] 구매력 평가설과 이자율 평가설 :: 하나부터열까지 지식창고 (tistory.com) [환율결정이론] 구매력 평가설과 이자율 평가설 이번 시간에는 외환시장의 참가자 개인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환율결정모형인 구매력 평가설과 이자율 평가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환시장에 대한 접근 방식이 재화/서비스 시 fromonetoten.tistory.com 이번 시간에는 거시적 환율결정모형들을 차례로 살펴보고 오버슈팅이론은 별도로 알아보겠습니다. 1. 포트폴리오 이론 포트폴리오 이론은 UIRP(유위험이자율평가설)을 기본적으로 부정하면서, 자산간의 불완전한 대체성을 가정한 위험기피자들에 의한 환율결..
-
[환율결정이론] 구매력 평가설과 이자율 평가설[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3. 20. 20:12
이번 시간에는 외환시장의 참가자 개인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환율결정모형인 구매력 평가설과 이자율 평가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환시장에 대한 접근 방식이 재화/서비스 시장인지 또는 금융시장인지에 따라 구매력 평가설과 이자율 평가설로 나뉘게 됩니다. 먼저 구매력 평가설(PPP;theory of Purchasing Power Parity)은 장기적으로 한 국가가 경상수지 흑자나 적자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환율은 궁극적으로 거래 균형을 달성하는 수준에서 정해진다는 이론입니다. 즉 국가 간의 교환 비율은 각국의 구매력을 반영한 결과라는 가설입니다. 이때 구매력이란 일정화폐로 살 수 있는 재화/용역의 양을 말합니다. 구매력 평가설은 일물 일가의 법칙(law o..
-
[환율결정이론] 환율의 의미와 환율 제도 비교[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3. 16. 22:08
이번시간부터는 환율결정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알게되는 환율결정이론과 모형들은 이제까지 배웠던 ISLM모형을 확장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것입니다. 먼저 환율(exchange rate)이란 두 국가 사이의 화폐교환비율을 말합니다. 이 교환비율을 줄여서 환율이라고 하며 통상 경제학에서는 e로 표현합니다. 이 환율은 수입품과 수출품의 가격, 해외투자자의 국내투자 시 국내자산의 가치 등 자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각국의 중앙은행을 통해 행사되는 통화주권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나라마다 세부적으로 운용되는 환율정책이 상이합니다. 하지만 보통 각국의 환율제도를 구분할 때는 고정환율제도 또는 변동환율제도의 틀 안에서 분류합니다. 고정환율제도(f..
-
[IS-LM모형] 절약의 역설과 대부시장 모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3. 12. 22:33
이번 글에서는 고전적인 케인즈학파에서 주창하는 주요 이론 중 하나인 절약의 역설을 살펴보고, 여러 상황이 고려될 때 절약의 역설이 적용가능한지를 대부시장 모형을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이란 모든 개인이 저축을 늘리면 국민소득이 감소해 결국 더이상 저축을 늘릴 수 없게 됨을 설파한 이론입니다. 이를 위해 대부시장 모형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S = I ⇒ S = SC + SG = (Y -T - C) + (T - G) = Y - C - G , I = I0 대부시장모형에서 자금의 공급은 저축이며, 자금의 수요는 투자입니다. 고전적인 케인즈 모형에서 투자는 야성적 충동에 의해 통제되므로 투자는 이자율과 무관하게 외생적으로 ..
-
[IS-LM모형] 화폐공급의 내생성이 고려된 IS-LM모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3. 8. 23:03
이번 글에서는 지난 글들에 이어 IS-LM의 응용모형으로서 화폐공급이 내생변수일 때 IS-LM모형을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가정했던 IS-LM모형은 화폐공급이 외생적으로 정책에 의해 정해지는 상황이었습니다. 따라서 화폐시장에서도 공급은 수직의 형태를 띄었습니다. 그러나 중앙은행 외에도 민간의 신용수요와 같이 다양한 요소에 의해 내생적으로 통화공급이 정해질수도 있는데, 이를 화폐공급의 내생성(endogeneity)이라고 합니다. 특히 현금예금비율(cr;currency ratio,=현금/예금)이나 지급준비율(rr;reserve ratio,=지급준비금/예금) 제도를 운영하는 경우 화폐공급에 내생성이 발생합니다. 예컨대 이자율이 상승하게 되면 은행에 들어오..
-
[IS-LM모형] 재정지출 방식에 따른 정책효과[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3. 5. 20:37
이번 시간에는 국내 총수요를 이루는 마지막 요소인 재정지출을 살펴보겠습니다. 이제까지 정부분야의 총수요정책은 단순 정부지출만 상정했었습니다. 이번에는 정부가 총수요를 진작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방안들을 고려해보고, 이때 정책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그전에 몇 가지 용어를 정리하고 가겠습니다. 가계도 수입과 지출이 있고, 기업도 매출과 비용이 있듯이 정부도 수입과 지출이 있는데 정부수입과 정부지출의 차이를 재정수지라고 하며, 수입이 더 많으면 흑자, 지출이 더 많으면 적자에 해당합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들은 경기부양 또는 정치적 이유 등으로 재정적자를 감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재정적자의 크기를 구하는 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재정적자(government bud..
-
[IS-LM모형] 유발투자가 고려된 IS-LM모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3. 2. 23:40
이번 시간에는 투자모형에 가속도원리가 고려된 IS-LM모형을 알아보겠습니다. 단순 IS모형에서는 투자는 이자율만 고려하는 모형이었습니다. 그러나 소득, 정부지출 등 다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는데 이를 유발투자(induced investment)라고 합니다. 여기서는 소득(생산량)에 영향을 받는 모형을 생각해보겠습니다. 소득과 투자는 정의 관계를 갖는데, 투자의 증가가 소득을 증가시키고 소득증가가 다시 투자를 늘리므로 유발투자가 고려되면 소득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나는데 이를 가속도원리(acceleration principle)라고 합니다. 소득에 따른 유발투자가 고려된 투자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b : 투자의 이자율 탄력성, nu : 투자의 소득탄력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