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
[IS-LM모형] 자산효과가 고려된 IS-LM 모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2. 25. 21:11
지난시간부터 IS-LM모형의 변형이 일어났을 때 어떻게 IS곡선 또는 LM곡선이 바뀌는지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우리가 상정한 가장 기초적인 IS-LM모형을 다시 한 번 상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중에서 우리가 바로 전에 살펴봤었던 기대인플레이션에 대한 논의는 LM과 IS곡선 상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해당했습니다. [IS-LM모형] 기대인플레이션이 고려된 IS-LM모형 :: 하나부터열까지 지식창고 (tistory.com) [IS-LM모형] 기대인플레이션이 고려된 IS-LM모형 이번 시간에는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피셔방정식과 기대인플레이션 효과를 살펴보겠습니다. 피셔방정식(Fisher equation)은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간의 관계를 나타낸 방 fromonetoten.tis..
-
[IS-LM모형] 기대인플레이션이 고려된 IS-LM모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2. 21. 22:17
이번 시간에는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피셔방정식과 기대인플레이션 효과를 살펴보겠습니다. 피셔방정식(Fisher equation)은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간의 관계를 나타낸 방정식입니다. 1) 원금 A원에 대해 명목이자율이 R만큼 부여될 때 원금과 이자의 크기는 A(1+R)입니다. 2) 한편, 인플레이션이 π만큼 발생하면, 실질이자율이 r일 때 원금과 이자의 크기는 A(1+r)(1+π)입니다. (1+r)(1+π) = 1+R이고, rπ는 크기가 매우 작아 무시한다면, R=r+π가 성립하고, 이 식을 피셔방정식이라고 합니다. 이 피셔방정식이 중요한 이유는 IS곡선과 LM곡선의 이자율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식 구성을 다시 보면 IS곡선에서 투자는 실질이자율의 함수입니다. 그러나 LM곡선에서 화..
-
[IS-LM모형] 08. 극단적인 IS, LM모형(야성적충동, 유동성함정 등)[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2. 17. 21:57
지난시간까지 IS-LM모형에 대한 분석을 했다면, 이번 시간부터는 IS-LM모형에 여러가지 조건과 변수를 추가하여 응용된 모형을 만들어보고 응용된 모형 하에서 효과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이제까지 우리는 우상향하는 LM과 우하향하는 IS를 기본 전제로 삼았습니다. 그런데 고전학파 또는 케인즈학파의 가정을 수용한다면, 극단적으로 수직 또는 수평의 IS, LM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수직의 IS곡선 -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 케인즈는 투자의 판단 요소가 이성적 분석과 판단의 결과라기보다 기업가의 직감과 심리에 기반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를 야성적 충동이라고 하며, 심리에 의해 투자가 결정될 경우, 극단적으로 시장의 이자율은 투자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따라서, IS곡선과 이자율 사..
-
[IS-LM모형] 07. 승수효과와 구축효과[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2. 13. 18:24
이제부터는 앞서 살펴본 IS-LM모형의 기초적 구성을 토대로 정책효과를 살펴볼텐데, 이번 글에서는 승수효과와 구축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시 떠올려보면 우리가 세팅한 IS와 LM곡선 모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승수효과와 구축효과 1) 의미 정부지출이 G0만큼 독립적으로 늘어났다고 해보겠습니다. 정부지출의 증가는 IS곡선을 상방이동시키는 변수입니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보는 것과 같이 IS에서 IS'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이동폭의 크기는 케인지안 크로스에서 본 바와 같이 G0보다 크게 나타납니다. 이처럼 외생적으로 결정되는 투자지출 또는 정부지출이 바뀔 때 그 변화분의 일정 배수만큼 소득이 변하게 되는데, 이를 승수효과라고 합니다.(ⓐ) 하지..
-
[IS-LM모형] 06. LM곡선의 도출[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2. 10. 23:39
[IS-LM모형] IS곡선의 도출 :: 하나부터열까지 지식창고 (tistory.com) [IS-LM모형] IS곡선의 도출 지난 시간에 공부한 케인즈 소득지출모형을 토대로 이번 시간부터는 IS-LM 모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S-LM모형은 재화시장의 균형식인 IS곡선과 화폐시장의 균형식인 LM곡선을 소득-이자율 평 fromonetoten.tistory.com 지난 시간에 IS곡선에 대해서 알아봤었는데 이번에는 LM곡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LM(Liquidity preference - Money supply) 곡선 LM곡선은 화폐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통해 나타나는 화폐시장의 균형을 소득-이자율 평면에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LM곡선의 모형식은 화폐공급과 화폐수요를 일치시키는 수준에서 정해집니다..
-
[IS-LM모형] IS곡선의 도출[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2. 6. 20:51
지난 시간에 공부한 케인즈 소득지출모형을 토대로 이번 시간부터는 IS-LM 모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S-LM모형은 재화시장의 균형식인 IS곡선과 화폐시장의 균형식인 LM곡선을 소득-이자율 평면에 나타내 거시경제현상을 분석합니다. 그 중에서 IS곡선에 대해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1. IS(Investment - Saving) 곡선 IS곡선은 재화시장(또는 대부시장)의 균형을 나타내는 소득과 이자율의 조합을 나타낸 곡선입니다. 재화시장의 균형은 총수요(YD)와 총공급(YS)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됩니다. 그리고 이때 총공급은 생산GDP로 표현가능하며 총소득(Y)과 동일합니다. 그리고 총수요는 가계, 기업, 정부분야의 수요량인 소비(C), 투자(I), 정부지출(G)과 외국의 경우 순수출(EX-IM)로 ..
-
[보충] 케인즈의 절대소득가설[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2. 2. 22:35
이번 글에서는 IS곡선과 케인지안 크로스 모형의 바탕이 되는 케인즈의 절대소득가설을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이론은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학부 거시경제학에서 소비이론을 배우는 최초의 학자는 케인즈입니다. 케인즈는 가계소비는 단기 유동성 제약 하에서 가계의 가처분소득에 비례하여 소비를 결정한다고 생각했습니다. C = c0 + c(Y-T) 이때 c0는 기초소비, c는 한계소비성향으로 가처분소득 1단위가 늘어날 때 늘어나는 소비의 크기를 말합니다. 사실 케인즈의 절대소득가설에 따르면 평균소비성향(APC)도 체감하고, 한계소비성향(MPC)도 체감하는 소비함수로 예컨대 아래와 같은 소비함수가 대표적입니다. 케인즈의 절대소득가설에 따르면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
-
[IS-LM모형] 케인즈 소득-지출 모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2. 1. 27. 19:55
이번 글에서는 IS곡선의 도출원리라고 할 수 있는 케인즈 소득-지출 모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득-지출 모형은 생산물시장에 초점을 두고, 생산물시장의 총소득(Y)과 총지출(E)이 일치하는 것을 바탕으로 시장균형을 분석하는 모형입니다. 생산물시장의 총지출은 사회 내 경제주체들인 가계, 기업, 정부분야의 지출의 합과 일치합니다. 이때 가계의 지출는 소비, 기업의 지출은 투자, 정부의 지출은 정부지출로 나타납니다. E = C + I + G 그런데 케인즈에 따르면 소비는 가처분소득에 대해 증가함수입니다. 특히 케인즈의 소비이론을 절대소득가설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대한 내용은 별도 글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https://fromonetoten.tistory.com/111 케인즈의 절대소득가설을 고려한 생산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