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실패
-
[외부성] 16. 배출부과금 제도[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4. 14. 16:58
이번 시간에는 외부성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인 배출부과금 제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배출 부과금(emission tax)이란 정책당국이 오염원으로 하여금 스스로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도록 하는 경제적 유인의 한 형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오염원 배출에 비용을 부과하는 제도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피구세(Pigou tax)라고도 부르는데, 여기서는 배출부과금으로 통일하겠습니다.우리가 미시경제학에서는 외부효과에 비례하여 조세(tax) 또는 보조금(subsidy)을 책정하여 비효율성을 제거하는 것을 확인했었습니다. 기억이 안난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https://fromonetoten.tistory.com/106 [시장실패이론] 외부효과(외부성) 이번 글에서는 시장실패 ..
-
[외부성] 15. 공유지의 비극과 코즈의 정리[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4. 7. 16:42
이번 시간에는 공유지의 비극에 대해서 알아보고, 공유지의 비극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인 코즈의 정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공유지의 비극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commons)이란 소유권이 명확하게 분배되지 않아 각 개인이 공유지를 아껴 쓸 유인을 갖지 못해 자원이 낭비되는 현상을 말합니다.공유지 혹은 공유자원이 되는 경우는 경합성(참여자가 늘어날수록 참여자 당 사용가능한 자원의 양이 줄어드는 특성)은 있으나 배제성(특정 참여자가 자원을 사용할 수 없게끔 제한할 수 있는 특성)이 없는 경우에 나타납니다.예를 들어, 주민들이 모두가 이용하는 공유 어장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주민들은 이 어장에서 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꾸려나갑니다. 적정수의 물고기만 잡는다면(=포획량이 ..
-
[보충] 외부성의 비효율성 증명[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3. 29. 07:49
이번 시간에는 외부성이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보다 수리적으로 보이겠습니다.1. 소비의 외부성두 소비자 A, B에 대해서 두 상품 X, Y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X재의 소비가 외부성을 지닌다면 각 소비자의 효용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uA(XA, YA, XB), uB(XB, YB, XA)그리고 이 때 생산가능곡선은 Y≤T(X)로 표현하겠습니다.이에 대해서 라그랑지 식은 다음과 같이 세울 수 있습니다.X재와 Y재 편미분 라그랑지식을 각각 연립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습니다.위 식에서 (1)식을 (2)식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습니다. 결과식을 보면 MRSA=MRSB 외에 X재 생산량에 의해 최적 조건이 변경됨을 알 수 있습니다.2. 생산의 외부성이번..
-
[외부성] 14. 외부효과와 비효율성의 크기[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3. 25. 16:05
이번 글부터는 외부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외부성에 대한 개념이나 계산 방식은 미시경제학에서 다룬 바 있는데복습이 필요하거나 다음의 내용이 이해가지 않는다면 미시경제학에서 다루었던 외부성 설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fromonetoten.tistory.com/106 [시장실패이론] 외부효과(외부성) 이번 글에서는 시장실패 사유 중 하나인 외부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부성(externality)이란 어떤 행위가 비용지불이나 대가수취없이 제3자에게 의도하지 않은 혜택이나 손해를 가fromonetoten.tistory.com 외부성 또는 외부효과(externalities)란 어떤 행위가 제3자에게 의도하지 않은 혜택이나 손해를 일으킴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받..
-
[공공재] 07. 무임승차자 문제[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5. 2. 5. 12:18
이번 시간에는 공공재에 대한 무임승차자 문제를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공공재에 대한 무임승차 문제(free riding problem)란 생산된 공공재에 대해 정당한 댓가를 지불하지 않고 공공재 생산의 이득을 향유하는 문제를 말합니다.공공재의 이득을 누리는 각 개인들이 진실한 선호를 표출하고 이를 토대로 최적 공공재 생산량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공공재 생산 비용을 분담한다면 무임승차자 문제 없이 최적 균형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 각 개인들은 자신의 선호를 과소 표출하여 자신의 효용을 더 높이려는 유인을 가지고 있으며(린달 균형의 한계), △ 각 개인들이 진실되게 선호를 표출하더라도 이를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도출할 수 있는 사회 후생함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애로우 불가능성 정리..
-
[사회후생이론] 01. 재정학의 의의, 성격 및 배경[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공공경제학(재정학) 2024. 12. 27. 14:37
재정학의 첫 시간으로 사회후생이론을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배경이 되는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재정학(공공경제학, Public finance)은 미시경제학적 도구들을 활용하여 정부의 경제활동을 분석하는 분야입니다.정부의 기능을 살펴보기 전에 정부를 바라보는 견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1) 유기체적 견해(organic view) : 사회를 하나의 자연적 유기체로 보며 각 개인은 사회의 부분으로서만 의미를 가짐. 전체를 위해 봉사하는 것이 개인의 미덕이 되며, 정부보다 개인이 우월한 존재로 봄.2) 기계론적 견해(mechanistic view) : 정부의 목적을 오직 개인의 기여를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보며, 정부 자체가 스스로의 목표를 위해 개인을 동원할 수 없다고 보는 견해임..
-
[시장실패이론] 시장실패와 정부실패의 개념[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12. 29. 23:06
이번 시간에는 시장실패와 정부실패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후생경제학 제1정리를 통해서 자유로운 경쟁을 바탕에 둔 일반경쟁균형이 사회적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최적이 되는 파레토균형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후생경제학] 애로우 불가능성 정리와 차선의 정리 :: 하나부터열까지 지식창고 (tistory.com) [후생경제학] 애로우 불가능성 정리와 차선의 정리 이번 글에서는 후생경제학에서 도출되는 중요한 정리인 애로우 불가능성 정리와 차선의 정리, 그리고 한정성 규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애로우 불가능성 정리(Arrow's impossibility theorem) 애로 fromonetoten.tistory.com 하지만 현실에서는 후생경제학 제1정리를 달성하..
-
[정보경제학] 주인대리인 이론과 유인설계[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12. 12. 21:11
이번 시간에는 도덕적 해이 문제가 발생하는 주인과 대리인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주인대리인 이론과 주인-대리인 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인설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인대리인문제(Principal Agent problem)란 대리인의 감추어진 행동으로 인해 주인이 대리인의 노력이나 행동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말합니다. 주인이 대리인의 노력이나 행동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면, 대리인은 주인이 아닌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행동합니다. 주인-대리인 이론이 잘 적용되는 경우 중 하나가 주식시장입니다. 주주(주인)는 자신이 소유한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유인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야 회사의 가치가 오르고, 배당이 높아져 주주의 이익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