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실패이론] 공공재[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2. 1. 1. 19:35
지난 시간에 우리는 시장실패가 발생하는 이유로 크게 ① 불완전경쟁 ② 정보비대칭 ③ 공공재 ④ 외부성을 들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4가지 사유 중에서 공공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공재(public goods)란 특정 사회에서 생산되는 즉시 그 집단 구성원 모두가 함께 소비할 수 있는 재화를 말합니다.
공공재는 비경합성과 배제불가능성을 갖습니다. 비경합성(non-rivalry)이란 어떤 개인이 소비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의 소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화를 말합니다. 그리고 배제불가능성(non-excludability)은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소비하려는 사람을 배제할 수 없는 재화를 가리킵니다.
가로등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가로등을 사용하는 것은 불빛을 통해 주변을 밝히는 것인데 누군가가 가로등에 있더라도 다른 사람들도 가로등 근처에 가서 주변을 밝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로등에 비용을 지불해야 사용할 수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하지만 가로등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지 않은 사람이 가로등 근처에 가기만 하면 주변이 밝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배제가 불가능합니다.
경합이 되지 않고, 배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은 무임승차자 문제(free-rider problem)을 낳습니다. 왜냐하면 특정 사람이 쓰려고 만든 공공재에 대해서 비용을 한푼도 보태지 않은 사람도 배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참여가 가능하고, 경합하지 않기 때문에 그 공공재로부터 나오는 효용을 온전히 누릴 수 있게 됩니다. 특히 대표적인 공공재에 해당하는 국방, 치안, 소방 등은 대부분 많은 고정비용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임승차의 유인이 더 커지게 됩니다.
무임승차자 문제를 게임이론을 통해 좀 더 명확히 이해해봅시다.
A, B 두 사람에게 공공재를 만들지 말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둘 사이에서는 상의할 수 없고, 동시게임으로 진행됩니다. 공공재가 주는 편익은 20이며, 공공재를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30입니다. 두 명 모두 만드는 것에 동의하면, 비용은 절반씩 부담하게 되고, 한 명만 동의한다면 한 명이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이를 보수행렬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상태에서 A, B의 우월전략은 공공재를 공급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때문에 사회적으로는 공공재를 만드는 것이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최적수준만큼의 공급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우리가 앞에서 살펴봤었던 죄수의 딜레마(Prisioner's dilemma)와 같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공공재를 시장에만 맡겨두게 될 경우 사회의 최적생산량에 비해 과소생산되거나 아예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하여 공공재를 생산해야 합니다. 이때 최적 공공재 생산량 조건은 각 개인의 한계편익의 합이 공공재의 한계비용과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됩니다.
이렇게 보면, 사적재와 공공재의 균형조건은 일치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공공재와 사적재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한계수입 또는 한계편익을 합치는 기준입니다. 우리가 이제까지 한계비용이나 한계편익의 합을 구할 때 그래프의 합계산은 수평합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가격이 아닌 거래량을 기준으로 합산했었습니다.
[시장균형이론] 수요공급곡선의 이동과 합산 :: 하나부터열까지 지식창고 (tistory.com)
그런데, 공공재의 경우에는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이 있기 때문에 특정 공공재 공급량에 대해 각 경제주체가 느끼는 편익을 모두 더해줘야합니다. 즉 공공재에서는 한계편익곡선의 합이 수평이 아닌 수직합입니다. 따라서, 한계편익의 합은 거래량이 기준이 아닌 가격을 기준으로 합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공공재 공급량을 G라고 할 때, 개인 1, 2의 공공재에 대한 한계편익은 MB1=15-G, MB2=26-2G 한계비용은 MC1=5+2G1, MC2=4+G2라고 하겠습니다.
먼저 한계비용의 합부터 구하면, 우리가 수요공급함수 등에서와 마찬가지로 개별그래프의 합계산은 수평합입니다.
따라서 한계비용을 합하면,
반면, 앞에서 말한 것처럼 사적재가 아닌 공공재의 한계편익은 비경합성이므로 모든 개인이 동시에 누릴 수 있으므로 수평합이 아닌 수직합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ΣMBi=MC 조건에 따라 최적 공공재 공급량은 G=10이 됩니다.
공공재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공공경제학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거나 지적할 사항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알아가자]경제학 > [알아가자]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실패이론] 외부효과(외부성) (0) 2022.01.05 [시장실패이론] 시장실패와 정부실패의 개념 (0) 2021.12.29 [후생경제학] 애로우 불가능성 정리와 차선의 정리 (0) 2021.12.26 [후생경제학] 사회후생함수와 후생경제학 정리 (0) 2021.12.20 [보충] 개인과 사회 사이의 정보경제학 (0) 20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