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시적기초-노동] 66. 내부자 - 외부자 모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3. 8. 27. 23:18
이번 시간에는 뉴케인즈 노동시장 이론 중 내부자 - 외부자 모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부자 - 외부자 모형은 미시경제학에서나 이전 거시경제학에서 몇 번 가볍게 다루었었는데, 관련된 내용은 링크 참고해주세요
[요소시장이론] 쌍방독점
이번 시간에는 쌍방독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쌍방독점(bilateral monopoly)은 재화시장과 요소시장에 각각 독점적 지위를 가진 주체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둘 다 가격설정자(price
fromonetoten.tistory.com
[실업인플레이션이론] 38. 이력가설 :: 하나부터열까지 지식창고 (tistory.com)
[실업인플레이션이론] 38. 이력가설
이번시간에는 새케인즈학파를 중심으로 이론적 토대가 마련된 이력가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력가설(hysteresis)이란 실업률이 높아진 채로 일정기간 유지가 되면 자연실업률 자체
fromonetoten.tistory.com
노동시장에서 내부자(insider)와 외부자(outsider)를 구별하는 이론으로, 내부자는 어떤 이유로 기업과의 독점적인 임금 협상력을 갖는 집단이며, 외부자는 반대로 임금 협상력이 없는 집단입니다.
만약 노동자와 기업간에 완전경쟁이 가능하다면, G가 균형수준이 되며 w0가 균형임금이 됩니다.
하지만 내부자와 외부자가 나눠진다면, 내부자는 외부자의 실업을 감수해서라도 높은 임금을 받고자 노력하게 됩니다. 그래서 노동공급자의 이윤이 가장 높아지는 A점이 균형이 되며 이때 균형임금은 w1이 됩니다.
그 결과 노동공급자는 더 높은 이윤을 얻게 되지만, 사회적으로는 A와 G 사이만큼의 자중손실(deadweight loss)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내부자와 외부자의 관계는 노조원 - 비노조원, 취업자 - 실업자, 정규직 - 비정규직 등 협상력의 여부에 따라 다양한 양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내부자와 외부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1) 외부자의 인적자본과 한계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외부자 대상 재훈련
2) 임금의 신축성을 높이기 위한 이윤 공동배분(profit-sharing) 제도 도입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노동실업이론에서 다루지 못했던 소소한 내용들을 마무리하고, 자산/통화시장에 대한 미시적 기초 이론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거나 지적할 사항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알아가자]경제학 > [알아가자]거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적기초-노동] 68. 노동경제학의 소주제 (0) 2023.09.28 [미시적기초-노동] 67. 효율성임금가설 예시 (0) 2023.09.15 [미시적기초-노동] 65. 중첩임금계약모형, 암묵적임금계약모형 (0) 2023.08.19 [미시적기초-노동] 64. 효율성 임금가설 (1) 2023.08.15 [미시적기초-노동] 63. 다기간 노동시장 모형의 그래프 (1) 2023.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