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경제학
-
[시장균형이론] 가격통제와 수량통제[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6. 16. 22:13
이번 포스트에서는 가격통제와 수량통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가격통제정책 가격통제(Price Control)는 시장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을 때, 정부가 경제주체 보호 등의 목적으로 특정 재화의 가격을 일정수준 이상 또는 이하로 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격통제의 대표적인 방식이 가격상한제와 가격하한제인데 각각의 효과를 그래프로 알아보겠습니다. 1) 가격상한제(price ceiling) 가격상한제는 최고가격을 정해두고 그 이상 가격이 오르지 않게 하는 제도로, 주택에 대한 분양가상한제가 현실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 예시입니다. 아래에서는 가격상한제를 경제학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균형가격이 P0일때 균형은 Q0이나, 가격을 P1이상으로 올리지 못하게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러면..
-
[시장균형이론] 최적조세율의 결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6. 14. 22:13
이번 시간에는 지난 글에 이어 조세론 기초로서 최적조세에 대한 논의를 해보겠습니다. 최적조세율은 정의하기에 따라 다르지만 여기서는 조세수입을 극대화하는 세율이라고 정의하고 논의해보겠습니다. 1. 최적종량세 조세가 없을 때 공급곡선을 수평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러면 세금T에 대해서 dT=dP가 성립합니다. 조세수입 R=TQ에서 dR/dT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 수식에 따라 세입극대화를 위한 최적 세율 조건은 εP=P/T이며 그보다 탄력성이 높아지면 물품세 인상 시 조세수입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습니다. 거시경제학에서 공급주의경제학을 논할 때 나오는 래퍼커브(Laffer Curve)도 여기에서 유도할 수 있습니다. 거시경제학에서 보다 자세히 다루겠지만, 래퍼커브의 존재는 세..
-
[증명] 탄력성과 귀착의 관계[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한걸음더 2021. 6. 12. 22:59
이전 글에서 조세의 귀착과 탄력성의 관계를 대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시장균형이론] 조세 귀착이론 기초 : https://fromonetoten.tistory.com/39 이 글에서는 보다 일반적인 경우에도 귀착의 크기와 탄력성의 크기가 반비례하는지를 보이겠습니다. 조세는 중립성이 성립하므로 생산자에게 과세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P : 지불가격, r : 수취가격, T : 조세, XD : 수요량, XS : 공급량이라고 할 때, 조세는 수취가격과 지불가격의 차이와 같으며, 균형에서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으므로 다음이 성립합니다. (보충하자면, 균형상태에서 조세의 귀착분을 따지는 것이므로 균형 상태를 가정하고 탄력성을 구하는 것입니다.) 균형식의 양변을 전미분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
-
[시장균형이론] 조세 귀착이론 기초[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6. 10. 23:19
이번 시간에는 조세귀착에 대해 기본적인 내용과 유도를 알아보겠습니다. 1. 조세의 의미, 종류 세금에 대해서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지만 그 중 하나를 꼽자면 세금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정부 또는 지방 정부를 운영하기 위해 국민으로부터 법에 따라 걷는 돈"(국세청, 2021)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사회활동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광범위해지면서 세금의 종류와 유형도 아주 다양해졌고, 구별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세금을 징수하는 주체에 따라서 국세와 지방세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국세는 징수주체가 국가이며, 지방세는 징수주체가 지방자치단체가 됩니다. 또한 징수 목적에 따라 보통세와 목적세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보통세는 특별한 사용 용도를 지정하지 않고 징..
-
[시장균형이론] 탄력성이론의 응용[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6. 8. 20:11
지난 시간에는 탄력성의 정의와 의미, 그리고 수식을 활용해서 그래프상에서 직관적인 크기 비교를 해봤습니다. [시장균형이론] 탄력성 기초이론 : https://fromonetoten.tistory.com/37 이번에는 좀 더 수식과 직관을 활용하여 탄력성과 관계된 여러 의미를 도출해보겠습니다. 1. 개별 탄력성과 시장탄력성의 관계 개인 A(Q1,P1), 개인 B(Q2,P2)의 탄력성과 합산되었을 때 시장탄력성간 관계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우리는 시장에서 수요공급의 합은 가격이 아니라 수량 기준으로 합산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시장균형이론] 수요공급곡선의 이동과 합산 : https://fromonetoten.tistory.com/36 이를 다시 상기해보면 Q*=Q1+Q2..
-
[시장균형이론] 탄력성 기초이론[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6. 5. 01:00
이번 시간에는 탄력성에 대해서 기본적인 의미와 계산, 종류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탄력성은 비교하고자 하는 두 변화율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demand)이란 특정 재화 가격이 상승할 때, 재화 수요량의 변화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식에서 보는 것처럼 가격-재화 좌표평면상 점이라고 하더라도 해당 점에서 수요곡선의 기울기에 따라 탄력성이 달라집니다. 마찬가지로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일정하더라도 수요곡선의 어떤 점에서 측정하는지에 따라 탄력성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해당 점에서 탄력성이 클수록 탄력적(elastic)이라고 하고 탄력성이 낮을수록 비탄력적(inelastic)이라고..
-
[시장균형이론] 수요공급곡선의 이동과 합산[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6. 3. 19:52
이 글에서는 본격적으로 수요곡선 공급곡선을 다루기 전에 기본적인 내용들을 점검해보겠습니다. 1. 수요곡선(Demand curve)과 공급곡선(Supply curve) 수요곡선은 이전에 수요함수 때 다룬 바와 같이 수요량과 가격사이의 관계를 다룬 함수를 말합니다. 이 수요함수는 소비자의 예산제약 하 효용극대화 식을 통해서 유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급곡선은 생산량과 가격사이의 관계를 다룬 함수로, 비용제약 하 이윤극대화 식을 통해서 유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공급곡선은 기업의 한계비용이 됩니다. 그리고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교차하면서 생기는 점이 시장의 균형이 됩니다. 2. 곡선 상의 이동과 곡선의 이동 균형의 이동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곡선 상 이동과 곡선의..
-
[시장균형이론] 생산자 잉여, 소비자 잉여와 이윤[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미시경제학 2021. 5. 29. 22:19
이번 글에서는 시장 잉여와 이윤 간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자 잉여(Consumer Surplus;CS)란 구입자의 지불용의(willingness to pay)에서 실제 지불액을 뺀 금액을 말합니다. 즉 시장에서 소비자가 얻게 된 이득을 말합니다. 만약 시장의 균형가격이 P0라면 소비자잉여는 실제지불용의가 있는 금액보다 적게 지불해서 얻는 이득이므로 수요P0보다 높은 부분, 즉 영역 A가 소비자잉여가 됩니다. 만약 가격이 P1으로 하락한다면 소비자잉여는 B+C를 추가적으로 얻어 A+B+C로 확장됩니다. 이때 B는 가격하락으로 기존 소비자가 추가로 얻게된 소비자잉여에 해당하며, C는 가격하락으로 새로운 소비자가 얻게된 소비자 잉여에 해당합니다. 한편 생산자잉여(Producer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