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
[일반균형이론] 92. 두터운 시장 외부성[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9. 22. 21:52
이번 시간에는 두터운 시장 외부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먼저 두터운 시장과 얕은 시장이 무엇인지 알아야 할텐데요두터운 시장(thick market)이란 시장에 참여자의 수가 많아 거래가 활발한 시장을 말하며, 반대로 얕은 시장(thin market)이란 시장에 참여자의 수가 적어 거래가 적은 시장을 말합니다.그래서 두터운 시장 외부성(thick market externality)이란 시장의 참여자가 많을수록 시장이 더 잘 작동한다는 이론으로 특히 많은 사람이 참여하기 때문에 거래를 위한 탐색비용과 대기비용이 줄어들어 폭넓은 선택을 하게되는 외부효과를 갖는다는 이론입니다.외부효과에 대해서는 미시경제학 때 다뤘던 내용으로 다음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시장실패이론] 외부효과(외부성) :: 하..
-
[일반균형이론] 91. 조정실패모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9. 19. 23:47
이번 글에서는 일반균형이론 중 조정실패모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조정실패(coordination failure)란 여러 개의 균형이 존재하여 모든 사람들이 선호하는 상태가 실현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다수의 균형이 존재하는 이유는 민간부문 경제 주체 사이에 전략적 보완성(strategic complementarities)이 존재하여 고생산 균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현실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동시에 의사결정을 바꾸지 않는 한 결정을 바꿀 유인이 없어 결과적으로 모두에게 불리한 결과로 균형이 도달하게 됩니다.조정실패 모형을 전제로 할 경우 전략적 보완성이 존재하므로 노동량 - 생산량 평면상 총공급곡선은 체증하는 우상향의 곡선을 가집니다. 또한 노동수요곡선은 한계..
-
[일반균형모형] 90. 메뉴비용이론[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9. 6. 23:29
이번 시간에는 메뉴비용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메뉴 비용(menu cost)이란 기업이 가격을 바꿀 때 드는 마찰적 비용을 말합니다. 메뉴 비용 이론의 특징은 이 작은 메뉴 비용의 차이가 큰 경기변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독점적 경쟁시장을 가정했을 때,최초 균형은 P0 수준에서 E0입니다. 그리고 이때 기업의 이익의 크기는 사각형 OP0E0Y0에서 MC이하 면적을 뺀 크기만큼이 됩니다.이때 메뉴비용이 α만큼 생긴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MC를 α만큼 올려서 분석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반대로 수요곡선과 한계수입곡선을 α만큼 하향이동시켜서 분석해보겠습니다. 그러면 메뉴비용이 발생할 때 최적 수준을 다시 정한다면 변화된 균형은 P1 가격수준에서 E1입니다. 그리고 이때 이윤의 크기는 ..
-
[일반균형모형] 89. 예상된 정책효과 등[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8. 11. 16:40
이번 시간에는 예상된 수요/공급 측면의 충격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겠습니다.합리적 경제주체들을 가정했을 때, 큰 차이가 나는 것이 △ 일시적/영구적 충격 여부, △ 합리적 경제주체들의 예측여부 인데, 앞서 살펴본 충격들은 기본적으로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효과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합리적 경제주체들이 예측한 경우, 각 주체들이 그 효과에 맞추어 본인들의 선택을 조정하기 때문에 충격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4. 예상된 정부지출 증가정부지출 증가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개인들은 정부지출 증가를 예상하고, 미래의 조세부담을 대응하기 위해 소비를 줄이고 노동공급을 늘리는 선택을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자율이 하락하게 됨에..
-
[일반균형모형] 88. 총공급 충격 효과 분석[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8. 5. 23:21
지난 시간에는 총수요 충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면, 이번에는 총공급 측면에서 충격 효과를 분석하겠습니다.3. 총요소 생산성 증가3-A. 일시적 증가 - 폐쇄경제총요소생산성의 증가는 생산에 긍정적 충격을 주는 것으로 기업이 노동수요를 늘리게 되므로 총공급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이자율이 하락하면서, 노동공급의 기간간 대체효과에 의해 노동공급은 일부 감소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총수요생산성 증가에 따른 긍정적 충격이 더 크다고 가정하면, 전체적인 균형 노동수준은 증가합니다.또한, 소득의 증가와 이자율의 감소로 화폐수요가 증가하면서 물가는 하락합니다.3-B. 영구적 증가 - 폐쇄경제 총요소생산성의 영구적 상승은 기업의 노동수요 증가를 불러일으키며, 총공급곡선을 우측으로 ..
-
[일반균형모형] 87. 총수요 충격 효과 분석[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7. 20. 20:10
이번 글에서는 총수요 측면에서의 효과를 분석해보겠습니다.일반균형모형에서 충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2×2 차원의 분석이 진행되어야 합니다.정책효과가 일시적인지 영구적인지, 그리고 국가경제의 모습이 폐쇄적인지 개방적인지에 따라 ① 먼저 국외요건을 고려하지 않은 폐쇄 경제이면서, 그 정책효과(충격)가 일시적이어서 중장기적으로는 최초의 상태와 동일한 경우, ② 같은 폐쇄 경제이지만, 충격이 영구적이어서 시간이 지나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 경우, ③ 경상수지 및 환율과 같은 해외 요건이 고려되는 상황에서 그 효과가 일시적인 경우, ④ 개방경제 상황에서 지속적인 경제충격이 발생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이제 앞에서 살펴본 틀에 따라 정책효과 또는 충격의 효과를 나누어 보겠습니다.* 실물경기변..
-
[일반균형모형] 86. 일반균형모형의 설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6. 15. 23:25
이번 시간부터는 미시적 기초에 기반한 일반균형모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일반균형모형은 미시적 기초에 기반한 모형으로, 기존 모형과 비교하였을 때 합리적인 경제주체들을 가정하고 있으며 시간 변화에 따른 동태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일반균형모형에서는 각 경제변수별 가정을 다음과 같이 하고 있습니다.소비, 투자, 노동, 화폐수요 등의 함수는 각 경제주체가 합리적이라는 전제 하에 다기간의 효과를 고려하여 변수들의 동태적 효과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이에 따라 각 시장별 균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규모 개방경제에서는 국내의 실질이자율과 해외의 실질이자율이 같으므로(r=r*) 총공급과 총수요의 차이로 경상수지가 결정되며 변동환율제라면 환율이 변화하고, 고정환율제에서는 통화량이 ..
-
[보충] 포트폴리오 모형의 응용(과세모형)[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5. 17. 19:47
이번 글에서는 포트폴리오 모형의 응용으로서 자본 소득세 부과시의 최적선택 변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기존의 포트폴리오 모형에 대한 이해는 다음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산금융시장] 83. 토빈의 포트폴리오 모형 :: 하나부터열까지 지식창고 (tistory.com) [자산금융시장] 83. 토빈의 포트폴리오 모형지난 시간에 이어 화폐수요이론을 살펴보는데, 특히 미시적 화폐수요이론 중 토빈의 포트폴리오 모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미시적 화폐수요이론에 대해서는 이전 글을 참고해fromonetoten.tistory.com 1. 안전자산의 수익률이 0일 때1) 손실을 완전히 상쇄해주는 자본소득세손실을 상쇄해주는 자본소득세란 자본수익이 나면 과세하고, 자본손실이 나면 보조하여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