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
[자산금융시장] 77. 물가안정목표제[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3. 2. 23:20
[자산금융시장] 76. 통화정책의 기준지표 :: 하나부터열까지 지식창고 (tistory.com) [자산금융시장] 76. 통화정책의 기준지표 이번 시간에는 통화정책의 대전제로서 통화정책의 목표에 대한 기본적인 이야기와 아울러 우리나라 통화정책 목표인 물가안정목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책을 기획, 집행하는 것 fromonetoten.tistory.com 지난 시간에는 통화정책의 중간목표와 여러 목표제도들을 살펴보았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물가안정목표제를 본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물가안정목표제는 통화량 등의 중간목표를 두지 않고 정책의 최종 목표인 물가상승률 자체를 목표로 설정하고 중기적 시계에서 이를 달성하려 하는 통화정책 운영방식(한국은행, 2024)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
-
[자산금융시장] 76. 통화정책의 기준지표[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2. 24. 14:28
이번 시간에는 통화정책의 대전제로서 통화정책의 목표에 대한 기본적인 이야기와 아울러 우리나라 통화정책 목표인 물가안정목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책을 기획, 집행하는 것은 특정한 목표를 가지고 있기 마련인데 그 중에서도 통화 정책이란 다음과 같습니다. 한 나라에서 화폐(법정화폐 및 본원통화)의 독점적 발행권을 지닌 중앙은행이 경제 내에 유통되는 화폐(통화, 본원통화 및 파생통화)의 양이나 가격(금리)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화폐의 가치, 즉 물가를 안정시키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루어 나가려는 일련의 정책을 말한다. 한국은행, 2024 여기서 '독점적 발행권을 지닌 중앙은행' 은 통화정책의 주체로서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이 그 역할을 수행합니다. '화폐의 양이나 금리에 영향을 미치고'..
-
[자산금융시장] 75. 통화승수와 신용창조[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2. 2. 23:03
지난 시간에는 통화공급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을 살펴보았다면, 이번 시간에는 이를 바탕으로 통화승수효과와 신용창조 모형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지금부터 설명하는 내용들의 이해가 어렵다면 이전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자산금융시장] 74. 통화/유동성 지표와 본원통화 :: 하나부터열까지 지식창고 (tistory.com) [자산금융시장] 74. 통화/유동성 지표와 본원통화 이번 시간부터 화폐이론을 찬찬히 알아볼텐데 먼저 화폐공급이론 중에서 통화지표와 통화량에 관련된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폐공급이론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통화지표의 fromonetoten.tistory.com 먼저 통화 승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화승수(Money multiplier)란 본원통화가 늘어날..
-
[자산금융시장] 74. 통화/유동성 지표와 본원통화[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1. 26. 21:36
이번 시간부터 화폐이론을 찬찬히 알아볼텐데 먼저 화폐공급이론 중에서 통화지표와 통화량에 관련된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폐공급이론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통화지표의 종류에 대해 알아야하는데, 통화지표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통화량의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를 가리킵니다(한국은행, 2023). 시장 내에서 유통되는 통화 규모를 정확히 알아야 물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통화정책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화폐공급이론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파악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서 여러 가지 통화 및 유동성지표가 사용됩니다. 먼저 협의통화(M1)는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통화와 기타예금취급기관이 가지고 있는 결제성 예금인 예금통화의 합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예금통화에는 요구불예금(..
-
[자산금융시장] 73. 자산가격 버블[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4. 1. 5. 21:16
이번 글에서는 자산가격 버블 문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자산가격 버블 문제가 끊임없이 대두되고 있는데, 자산가격 버블이 발생하는 이유는 △ 낮은 금리에 따른 자금조달 용이 △ 부동산에 대한 높은 기대수익 △ 지속적인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 △ 아파트 소유주들을 중심으로 한 호가 담합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자산가격 버블이 발생하는 경로는 다음의 세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1) 금융자산의 수익률이 하락하게 되면 실물자산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는데, 대표적인 것이 부동산입니다. 특히 주택공급은 단기적으로는 매우 비탄력적이므로 주택수요가 갑자기 늘어날 경우 주택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는 원인이 됩니다. 2) 유동성 측면에서는 통화당국의 통화..
-
[자산금융시장] 72. BIS 자기자본비율[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3. 12. 30. 14:41
이번 시간에는 BIS 자기자본비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IS 자기자본비율이란 세계의 각국 은행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바젤은행감독위원회에서 발표하는 바젤자기자본협약(Basel Capital Accord)에 따른 금융기관의 자본규제비율을 뜻합니다.(한국은행,2023 등) 여기서 BIS(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는 국제결제은행을 가리킵니다. 국제결제은행은 1930년에 설립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제금융기구로 각국의 중앙은행들 간의 협력체로서 기능합니다. 국제결제은행 산하에 있는 것이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인데 BCBS에서는 은행의 건전성을 규율하기 위한 국제 기준 등..
-
[자산금융시장] 71. 레버리지[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3. 12. 8. 23:16
이번 시간에는 자산금융시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 중 하나인 레버리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버리지(Leverage)란 외부로부터 자본을 차입하여 자기자본 규모에 대비해 더 큰 수익을 얻는 투자방식을 말합니다. 레버리지의 크기는 총자산(=총자본+총부채)과 총자본의 비율로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총자산이 100인데 이 중에서 총자본이 20이라면 레버리지의 크기는 100/20=5가 됩니다. 또 다른 예로 총자본이 10, 총부채가 30이라면, 레버리지의 크기는 (10+30)/10=4가 됩니다. 이와 같은 레버리지를 가장 잘 활용하는 곳은 금융기관입니다. 예를 들어 은행은 자본을 제공하는 소유주로부터 예금을 받아 이 중 일부는 지급준비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는 대출로 제공합니다..
-
[자산금융시장] 70. 자금순환통계[알아가자]경제학/[알아가자]거시경제학 2023. 11. 25. 01:34
이번 글에서는 자금순환통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의 대부분의 내용은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및 2/4분기 자금순환 보도자료(23.10.6.)를 참고했음을 밝힙니다.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bok.or.kr) https://ecos.bok.or.kr/#/ ecos.bok.or.kr 자금순환통계는 경제부문간 금융거래와 금융자산 및 부채 현황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통계를 말합니다(한국은행, 2023). 쉽게 말하면 가계, 기업, 정부 등이 얼마나 돈을 가지고 있고(자산), 돈을 빌렸고(부채), 어디에서 자금을 가져와서 사용했는지(조달) 등을 알 수 있는 통계입니다. 자금순환통계에는 금융거래표와 금융자산/부채잔액표로 구성됩니다. 금융거래표는 일정기간 중에 각 경제부문의 금..